PUBLICATION
Domestic
1. 인구감소 지역의 빈집활용을 통한 워케이션 활성화 방안** - 다자요기업 사례들을 중심으로-
Revitalizing Workcation by utilizing Empty Houses in Areas with Declining Population - Focused on the Cases by the DAZAYO Company-.
김영주, 김미정 (202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3(3), 92-102, 2024.06.
2.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중학생들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학습경험과 요구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Demands for Online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김미정, 조명은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5(3), 733-741, 2024.03.
Mi Jeong Kim and Myeong Eun Cho (2024).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5(3), 733-741. 2024.03
3. IC-PBL 기반 건축디자인 교육
IC-PBL Driven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Creating Social Value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양형모, 김미정 (202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3(1), 41-48, 2024.02.
4. 디자인 문제해결과정에서 웹기반 툴의 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Web-based Tools in the Design Problem-Solving Process.
조명은, 김미정 (202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2(5), 10-18, 2023.10.
Myung Eun Cho and Mi Jeong Kim (2023).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32(5), 10-18, 2023.10.
5. 코로나 팬데믹시대 건축전공 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f Online Education Experiences of Architectura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조명은, 김미정 (202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1(6), 23-32, 2022.12.
6.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의 계획방향 연구 – 미국 Affordable Housing과의 비교를 통해
Directions for the Design of Seoul 2030 Youth Housings – comparison with Affordable Housing in the United States.
최주희, 김미정 (202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1(3), 81-90, 2022.06.
7.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스마트 공유주거 커뮤니티 모델 개발
A Smart Community Model for Shared-Housing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양서정, 김미정(2021),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2(3), 43-52, 2021.06.
Shuting, Yang, Mi Jeong Kim,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2(3), 43-52
8. 2인 가구의 Wellness를 위한 공동주택 주거서비스 및 커뮤니티 개발 방향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ousing Service and Community for the Wellness of Two-Person Household
조명은, 김미정 (2021),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1(6), 35-44, 2020.12.
Myung Eun Cho and Mi Jeong Kim (2018).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1(6), 35-44.
9. 중국 베이징시 고층아파트 단지 거주자의 공동체 의식을 지원하는 공용공간에 관한 연구
Common Spaces to Support Community Consciousness of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in Beijing, China
동효원, 김미정 (202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1(4) 25-33, 2020.08.
Xiaowen Tong and Mi Jeong Kim(2020),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1(4), 25-33.
10. 중국 스마트학교 계획에 관한 연구: 학교생활과 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를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f Smart School Planning in China: Focused on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of School Life and Facilities
장천삼, 김미정 (2020), 한국생활과학회 논문집, 29(3) 437-450, 202006.
Quansen Jiang and Mi Jeong Kim(2020),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9(3), 437-450.
11. 1인 가구의 wellness를 위한 스마트 홈/커뮤니티 개발 방향- 노년층 제외한 1인가구를 대상으로
A Direction for Smart Home/Community Supporting the Welln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 Focused on the Single-Person Households Except the Elderly
조명은, 김미정 (2020).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9(2), 3-11, 2020.04.
Myung Eun Cho and Mi Jeong Kim (202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9(2), 3-11.
12. 한국 여성들의 wellness를 위한 스마트 리빙
A Smart Living of Korean Women’s Wellness
김미정, 조명은 (202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집, 21(1), 19-29, 2020.01.
Myung Eun Cho and Mi Jeong Kim (2020)..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1(1), 19-29.
13.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
Identifying Urban Regeneration Research Trends
김영주, 김미정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8(5), 51-59, 2019.10.
14. 중국 양로원 시설의 거주환경 실태조사 연구 - 창춘시 소재 양로원 시설을 중심으로
The living Condition of Nursing Homes in China
마닝, 김미정 (201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0(1), 37-45, 2019.02.
Ma Ning and Mi Jeong Kim (2019).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0(1), 37-45.
15. 사용자의 스마트 주거 기술 선호와 수용에 관한 연구
Users’ Preference and Acceptance of Smart Home Technologies.
조명은, 김미정 (2018),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4(11), 75-84, 2018.11.
Myung Eun Cho and Mi Jeong Kim (2018).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4(11), 75-84.
16. 사회적 기업 민와일 스페이스의 빈집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mart Utilization of Empty Spaces by the Company ‘Meanwhile Space’
김영주, 김미정 (2018),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7(5), 44-52, 2018.10.
17. 1-2인 가구의 헬스 스마트 주거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Providing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Smart Homes for 1-2 Households
조명은, 김미정 (2018),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9(3), 11-20, 2018.06.
Myung Eun Cho and Mi Jeong Kim (2018)..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9(3), 11-20.
18. 건강지원 스마트 공유주거 계획을 위한 중국 유학생 거주실태 조사연구
Analyz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Conditions for Health Smart Share House
유승아, 김미정 (2018),,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9(2), 63-70, 2018.03.
Liu Yan and Mi Jeong Kim (2018)..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9(2), 63-70.
19. 노년층의 건강지원을 위한 스마트 홈 모델 개발연구
Development of a Health Smart Home Model for the Elderly
조명은, 오윤자, 김미정 (2018), 한국주거학회논문 29(2), 81-90, 2018.03.
20. 중년층의 활동특성을 통해 본 건강지원 스마트 홈 계획방향
Providing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Smart Home based on the Middle Ages’ Housing Activities and Demands
조명은, 김미정 (2017),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8(5), 109-117, 2017.10.
Myung Eun Cho and Mi Jeong Kim (2017)..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8(5), 109-117.
21. 몰입형 환경에서의 사용자 디자인 과정에 관한 연구
Users' Design Process in Immersive Environments
조명은, 김미정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6(2), 64-71, 2017.04.
22. 중국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주택 요구도 분석
Identifying Housing Demands on Smart Homes by Targeting Residents of Apartment Complexes in China
동설, 김미정, 조명은 (2016),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7(6) 105-112, 2016.12.
23. 중국의 주거지원 서비스에 대한 실태조사 및 방향성
Proposing a Direction for Smart Housing Services Supporting the Elderly in China
전모모, 김미정, 조명은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5(6), 98-105, 2016.12.
24. 디자인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증진을 위한 디지털의 인지적 활용
Digital Utilization for Creative Problem-Solving in Design Education with a Focus on Cognitive Aspect of the Digital
최한희, 김미정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 논문집 22(3), 599-608, 2016.09.
25. 디지털 환경이 창의적인 디자인 사고와 인지과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igital Design Environment on Creative Design Thinking and Cognitive Processes - Focused on AutoCAD and SketchUp
조명은, 김미정 (2016),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2(9), 67-75, 2016.09.
26. 과학관에서의 사용자 참여 행동과 상호작용적 경험
Participatory Behaviors and Interactive Experiences at a Science Museum
조명은, 김미정 (2016), ,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5(1) 65-72, 2016.02.
27. 실내계획측면에서의 1인 가구 주거요구 분석 연구
Single-Person Household Needs with a Focus on Interior Planning
최한희, 김미정 (2015),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4(6) 163-170, 2015.12.
28. 스튜디오 수업에서 교사의 역량이 기술통합교육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structors' Capacity on Technology Integrated Education in Interior Design Studios
조명은, 김미정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4(5), 70-77, 2015.10.
29. 인터랙션에서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감정평가방법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Emotion Measurements for User Experience in Interaction
조명은, 김미정 (2014),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48, 188-197, 2014.11.
30. 정보통신기술과 주거에 대한 중요 담론 분석연구
Discourse Analysis on ICT and Home: From Electronic Cottage to Sharable Home
한수연, 김미정 (201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0(1), 649-658, 2014.06.
31. 디자인 교육에서의 창의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Method for Assessing Creativity in Design Education
최한희, 김미정 (2014),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논문집 20(1), 649-658, 2014.03.
32.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를 이용한 거주자 경험 분석에 관한 연구
Evaluating Residents’ Experiences in an Apartment Complex using a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오명원, 조명은, 김미정 (2014),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0(1), 23-32, 2014.01.
33.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과학관 전시물의 사용성 평가
A Usability Study on Museum Installations Emphasizing Interaction Design for User Experience
조명은, 최한희, 김미정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2(5) 302-310, 2013.10.
34. 인텔리젼트 작업공간 디자인 개념과 원리-인터랙션을 중심으로
Design Concepts and Principles for Intelligent Workspaces-Centered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조명은, 김미정 (2013),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논문집, 13(4) 1-10, 2013.09.
35.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교육 연구동향 분석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Creativity in Architectural Design
최한희, 조명은, 김미정 (2013), 한국디자인학회 논문집, 26(3), 119-138, 2013.01.
Han Hee Choi, Myung Eun Cho and Mi Jeong Kim (2013).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3), 119-138.
36.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가상건축 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Design Approaches to Virtual Architecture in a Digital Design Studio
김미정, 이주현, 조명은 (2013),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논문집 13(3), 53-61, 2013.07.
37. 프로토콜 분석을 통한 창의적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은유와 유추
Identifying Metaphor and Analogy Strategies for The Creative Design using Protocol Analysis
최한희, 주서령, 김미정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2(1), 64-74, 2013.02.
38. 실물형 인터렉션 디자인 특성 분석: 과학관 체험 전시물을 대상으로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angible User Interface- Centered on the Science Museum Installation
조명은, 오명원, 김미정 (2012), 한국감성과학회 논문집 15(4), 553-564, 2012.12.
39. 업무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오피스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Ubiquitous Offices with a Focus on Work Services
조명은, 채희화, 이주현, 김미정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1(2), 186-196, 2012.04.
40. 아파트 거주자들을 위한 스마트 커뮤니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Community Spaces in Housing Complex
조명은, 채회화, 김미정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1(1), 159-169, 2012.02.
41. 타운하우스 거주자들의 거주 후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n a Townhouse based on Residents' Satisfactions
김미정, 조명은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 (1), 117-127, 2011.02.
42. 맥락적 환경을 고려한 증강현실 콘텐츠 개발 전략
A Development Strategy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the Contextual Environments
이주현, 김미정 (2010), 한국인문콘텐츠학회 논문집 19, 179-218, 2010.10.
Juhyun Lee and Mi Jeong Kim (2010). Journal of Human Contents of Association 19, 179-218.
43. A Computational Model of Evolutionary Color Design
44. CMYK 연계 먼셀 코드를 이용한 색채 조화 유형화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olor Combination Through Munsell Code Based on CMYK
이현수, 조명은, 김미정 (200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27), 136-144, 2001.06.
45. 사이버 주거의 개념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Model of Cyber House
이현수, 조명은, 김미정, 서미건 (2001).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17(9), 137-143, 2001.09.
46.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fe Reflected in WebSites
Mi Jeong Kim, Myung Eun Cho and Hyun Soo Lee (2000).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1(11), 179-187.